삼국시대부터 행해진 사직에 대한 제사는 자연에 감사하는 우리 조상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좋은 예이다. 조선의 태조는 나라를 세우면서 궁궐과 함께 종묘, 사직단(사적 제121호)을 마련하여 좌묘우사(左廟右社)의 원칙에따라 경복궁의 동쪽에는 종묘를, 서쪽에는 사직단을 설치하고, 각 지방에도 사직단을 세워 백성의 평안함과 풍년을 기원하였다. 사직단은 북쪽에 신위를 모시고 동서로 사단(社壇)과 직단(稷壇)을 배치하였다. 제사는 정기적으로 2월과 8월, 그리고 동지와 섣달 그믐날 밤에 지냈으며, 부정기적으로는 나라의 큰일이나 가뭄이 있을 때에는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제사를 지내는 절차나 격식은 때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 왔으나 점차 중국의 방식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우리 고유의 예를 갖추게 되었다. 오늘날 행해지는 제사의식은 주(奏)·악(樂)·무(舞)와 폐(幣)를 드리고 소·돼지·양의 생고기를 비롯한 각종 곡식을 마련하고, 전폐·영신례·초헌례·아헌례·종헌례·음복례 및 망요례를 순서에 입각하여 진행한다. 사직례에 사용되는 음악, 무용, 음식, 의복, 의기(儀器) 등을 비롯하여 제사를 행하는 우리 고유의 제사절차 등은 전통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제사의식은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 터줏대감이나 산신 등에 제사하는 민속이나 전통관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정리하는데 기준이 되는 귀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겠다. 사직례는 고종 31년(1894년)에 이르러 신관제(新官制)로 바뀌면서 태사(太社)와 태직(太稷)으로 격이 높아진 때도 없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시절마저 그리 오래가지는 못하고, 1908년(순종 2) 일제의 강압으로 폐지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복원하여 매년 개천절에 사직공원에 있는 서울 사직단(사적 121)에서 전주이씨 대동종약원(大同宗約院) 주관으로 봉행해 오고 있다.
<출처 : 성균관 홈페이지>
도덕과 윤리와 예절을 존중하는 원주향교
About 강원도 원주시 명륜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학교
지정종목 :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 강원문화재자료 제98호
지정일 : 1985년 01월 17일
시대 : 고려
종류/분류 : 향교
Location
[26439] 강원 원주시 향교길 37-1
37 -1 Hyanggyo-gil, Wonju-si, Kangwon-do, Republic of Korea